본문 바로가기

OS/쉽게 배우는 운영체제23

네트워크와 분산 시스템 이 책을 시작할 때에 P2P에 대해 배운적이 있었다. P2P는 서버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여러 사용자의 컴퓨터를 조금씩 사용하여 부담을 나누는 기법이다. 하지만 실제로 P2P기법은 사용자의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시선이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점차 컴퓨터가 좋아져 사용자의 부담이 덜하고 사용자에게 혜택을 준다면 머지않아 P2P가 많이 사용될 거라고 생각한다. 또한, 전화선의 발전 중 1세대와 2세대를 나누는 기준이 데이터를 보낼 때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라고 배웠다. 디지털 데이터가 같은 대역에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디지털 데이터로 어떻게 음성을 보내는지, 왜 디지털 데이터를 쓰면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생겼다. 1. 네트워크와 인.. 2022. 4. 17.
파일 시스템 (2) 이번 단원에서는 디스크의 할당 방식에 대해 다룬다. 디스크의 할당 방식도 메인 메모리의 할당 방식과 유사하다. 연속 할당과 불연속 할당은 메모리의 가변분할과 고정분할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공부할 수 있다. 3. 디스크 파일 할당 3-1 연속할당과 불연속 할당 연속 할당 : 데이터를 디스크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간단한 방식 (가변 분할 방식) 비연속 할당 : 데이터를 비어있는 블록에 분산하여 저장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파일 시스템이 관리하는 방식 1. 연결할당 : 비연속 할당의 방식 중 하나이다. 처음 시작하는 블록에서 다음 블록의 주소를 가지고 있고 끝까지 연결하여 가는 방식 ex) 윈도우의 FAT 2. 인덱스 할당 : 비연속 할당의 방식 중 하나이다. 여러 블록에 데이터가 나누어 저장되어 있고 테이블.. 2022. 4. 16.
파일 시스템 (1) 이번 단원은 내가 컴퓨터를 다루는데 가장 많은 궁금증이 있었고 가장 어렵다고만 느꼈었던 파일에 대해 다룬다. 그 동안 C 드라이브는 뭐고 파일의 속성, 등등 알고는 있었지만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았던 기능을 알게 되어 나름 되게 뿌듯했다. 앞에 나왔던 내용이 생각보다 많이 나와 공부하는데 어렵다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없었고 신기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며 공부했던 단원인 것 같다. 1. 파일과 파일 시스템 1-1 파일 시스템의 개요 컴퓨터는 사용자가 직접 컴퓨터에 저장하지 않고 운영체제에 맞겨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 이유는 앞서 많이 설명했듯이 사용자가 직접 저장을 하게되면 다른 사용자의 파일을 훼손하거나 저장장치의 내부를 어지럽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에 운영체제가 파일 관리자를 두어 파일을 저.. 2022. 4. 12.
저장장치 관리 (2) 이번 단원에서는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로 사용하는 RAID 기법에 대해 배웠다. 이 전 글에서 여러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모아논 것을 마운트라고 소개했었는데 RAID는 여러개의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여 데이터 복원, 혹은 속도 향상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하드디스크가 데이터를 불러오는 과정중에 '탐색시간'은 헤드가 직접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 탐색시간을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해 여러 기법을 사용하는데 그 기법에 대해 소개하겠다. 3. 디스크 스케줄링 1. FCFS 디스크 스케줄링 : 가장 단순한 스케줄링. FIFO 와 같이 가장 먼저 들어온 트랙 순서대로 서비스한다. 가장 단순한 대신 가장 효율이 낮은 기법이기도 하다. 2. SSTF 디스.. 2022. 4. 10.
저장장치 관리 (1) 그동안 저장장치라 하면 HDD나 SSD와 같이 대중적인 것들의 이름정도만 알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한 내용에 대해선 잘 몰랐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되게 내 주위에 익숙하게 있었다. 예를 들자면 CD플레이어와 HDD가 비슷한 원리로 작동된다는 것이다. 조각모음과 포멧팅과 같은 익숙한 이름도 많이 보였고 나도 모르는 사이에 컴퓨터를 다루며 저장장치에 대해 배웠던 것 일지도 모르겠다. 1. 입출력 시스템 1-1 입출력장치와 채널 컴퓨터의 각 장치는 메인보드의 버스로 연결된다. 주변장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따라 저속 주변장치, 고속 주변장치로 나뉠 수 있다. 저속 주변장치와 고속 주변장치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 때문에 버스에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 채널을 사용해 버스의 수를 늘린다. 하.. 2022. 4. 4.
가상 메모리 관리 (2) 오랜만에 블로그를 업로드하는것 같다. 그동안 학교 과제를 하느라 파이썬을 공부했었는데 파이썬도 이제 블로그에 올릴 생각이다. 이번 단원에서는 프로세스에 프레임을 어떤 기준으로 할당하는지에 대해 배웠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해당 프로세스가 필요한 만큼 유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이 좋은데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므로 현실적으로 가능한 여러 방법을 다룬다. 3. 스레싱과 프레임 할당 3-1 스레싱 1. 스레싱의 개념 : 물리메모리의 크기가 작아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 보다 메모리 관리에 더 시간을 써서 프로그램이 멈춘 것 같은 상태 2. 물리메모리의 크기와 스레싱 : 스레싱이 일어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세스의 크기보다 메모리의 크기가 작아 CPU가 일을 하지 못하는 것.. 2022.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