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를 마친 후 이제는 언어를 알아야 추후 공부에도 조금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 같아 언어중 가장 난이도가 쉽다는 파이썬을 공부했다.
사실 1학년때 배운 내용이 어느정도 있어 이해가 더 쉬웠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었다.
이번에 다룰 내용은 입출력과 변수이다.
1. 입력과 출력
먼저 입/출력은 모니터에 입력과 출력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파이썬에서는 여러 함수가 내장되어있는데 그 중 print(), input() 함수는 입출력을 담당한다.
먼저 print() 는 '따옴표 안에 있는 모든 글자/숫자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print('안녕하세요')
파이썬에서 위 코드를 입력한다면 '안녕하세요'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print() 함수안에는 수식도 들어갈 수 있다.
print(1+2)
print('1+2')
이 두 코드의 차이점은 1번 코드는 1+2 의 합을 보여준다. 결과값은 3이 될 것이다.
하지만 2번 코드는 따옴표 안에 있는 내용을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1+2 그대로 출력할 것이다.
그렇다면 입력은 반대로 내가 입력한 내용을 파이썬에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면 내가 입력한 값을 코드에 대입해 볼 수도 있다.
a = input('입력하세요 :')
이렇게 하면 a라는 변수에 사용자가 넣은 값이 저장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사칙연산과 같은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2. 변수
변수는 말 그대로 '변할 수 있는 수' 이다. 쉽게 말하자면 수를 담는 바구니 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이다. 바구니 안에는 숫자가 들어갈 수도 있고 문자가 들어갈 수도 있다.

'숫자' 바구니에는 정수와 실수 두개의 종류가 있고 '문자' 바구니에는 문자와 문자열 두가지로 나뉜다.
- 정수 int ( ) : 정수를 담는 변수 ex) 1,2,3
- 실수 float ( ) : 실수를 담는 변수 ex) 3.141592....
- 문자 char ( ) : 문자를 담는 변수 ex) 'A'
- 문자열 string ( ) : 문자열을 담는 변수 ex) 'Hello World'
변수의 쓰임은 매우 많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수가 될 수도 있고, 해당 문장을 몇 번 반복했는지 모두 변수를 이용한다.
# 변수 a와 b 를 입력받아 합 출력
a = int(input('정수 입력 :'))
b = int(input('정수 입력 :'))
print(a+b)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2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print() 함수를 이용해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숫자 up & down 게임 (0) | 2022.05.07 |
---|---|
(Python) 숫자 야구 만들기 (0) | 2022.05.06 |
(Python) if 를 이용한 조건문 (0) | 2022.05.04 |
(Python) While()을 이용한 반복문 (0) | 2022.04.26 |
(Python) 리스트 할당 (0) | 202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