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리 구조
·
Algorithm/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트리구조의 관한 내용은 힙정렬때 간략하게 공부한 탓인지 쉽게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었다. 책의 마지막 부분이 가까워지니까 내용이 한번 봤던 내용이여서 그런지 전보다는 쉽게 공부하는 것 같다. 트리구조는 데이터 사이의 계층이 존재한다. 따라서 값의 크고작음이 구조 자체에 나타나기 때문에 정렬하는 방법도 쉽게 나타낼 수 있다. 트리구조 데이터간의 계층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 용어 루트 : 트리의 가장 위쪽에 있는 노드 리프 (단말 노드): 트리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노드 비 단말 노드 (내부노드): 리프를 제외한 노드 레벨 : 루트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 가지가 아래로 뻗어나갈 때마다 레벨이 1씩 증가 차수 : 각 노드가 갖는 자식의 수 형제 : 부모가 같은 노드 순서 트리 : 형제 노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