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하는 알고리즘 (1)
·
Algorithm/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알고리즘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말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하는 것 같다. 문제를 많이 풀어보면서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나오면 풀었던 기억을 돌아보며 그 알고리즘에 대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새로운 방식을 이용하여 가장 좋은 알고리즘을 생각해내는 창의성인것 같다. 문제 1. 1부터 n까지 정수의 합 구하기 n = int(input('n값 입력 : ')) sum = 0 for i in range(1,n+1): sum += i print(f'{sum}입니다') 이 방법은 내가 풀었던 방법이였는데 책에는 while을 이용한 방법도 있었다. 이 문제는 반복문의 기초를 배우기 위한 문제인것 같으므로 패스하겠다. ㅋ 문제 2. 연속하는 정수의 합 구하기 # 책에서 나온 코드 print('a부터 b까지 정수의 합..
알고리즘이란?
·
Algorithm/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저번에 공부하던 알고리즘 책이 내 수준에 맞는것 같지 않아 보다 쉬운 책을 하나 더 구매했다. 다행히 지금까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였고 이전에 공부하던 책도 틈틈히 보며 알고리즘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할 예정이다. 문제1. 세 정수의 최댓값 구하기 a = int(input('정수 a의 값을 입력하시오 :')) b = int(input('정수 b의 값을 입력하시오 :')) c = int(input('정수 c의 값을 입력하시오 :')) max = a if b > max: max = b if c > max: max = c print(f'최댓값은{max}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간단하다. 처음 a를 최댓값으로 주어서 만약 b 가 a보다 크다면 b가 최댓값이 되는 것이고 c와 비교를 한 뒤 최..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출처
·
Algorithm/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카테고리에 있는 모든 글은 BohYoh Shibata 교수님의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파이썬편 ' (이지스 퍼블리싱) 에서 정리 및 요약 간접 인용한 것임을 밝힙니다.
선형 자료구조
·
Algorithm/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이번 책에서는 먼저 1장에서 코딩테스트의 기본에 대해 다루고 그 후에 파이썬, 3장부터 자료구조가 나와 책을 시작한지 조금 되었는데도 알고리즘이라는 카테고리에 맞지 않아 블로그 작성이 더뎌졌다. 하지만 이번 장 이후부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모두 계속 나오기 때문에 블로그 업로드 속도가 조금 빨라질 것 같다. 빅오 (Big-O) :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표기하는 표기법. 보통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얼마나 빠른지) 와 공간 복잡도(메모리가 얼마나 사용되는지) 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 입력값이 무한에 수렴할 때 (최악의 경우)알고리즘의 시간/공간 복잡도를 표기한다. 다음은 알고리즘의 효율성이 좋은 순서대로 나열한 빅오 표기법 이다. O (1) : 최상의 알고리즘이다. 입력값이 무한이더라도 항상 같은 시간..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출처
·
Algorithm/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카테고리에 있는 모든 글은 박상길 교수님의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책만) 에서 정리 및 요약 간접 인용한 것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