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
·
Android/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 카테고리에 있는 모든 글은 강성윤 교수님의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 (이지스 퍼블리싱) 에서 정리 및 요약한 것임을 밝힙니다.
다중 타이머 만들기 (Java Script)
·
Front end/JavaScript
컴활 준비를 끝내고 다시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며 내가 객체지향을 아직도 잘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자바스크립트의 기초는 어느정도 알고 있으니 간단한 프로그램을 최대한 많이 만들며 언어에 익숙해지려 한다. 며칠 전 "피지컬 100" 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던 중 참가자들이 공중에 매달리며 버티는 장면이 나왔다. 이 때 가장 오래 버틴 사람이 승자가 되는 그런 게임이였는데 그 장면을 보며 참가자들의 기록을 쉽게 잴 수 있는 다중 타이머를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생각보다 알고리즘은 굉장히 쉬웠지만 언어에 익숙하지 않다보니 시간이 조금 걸렸던 것 같다. Algoritm 알고리즘은 하나의 타이머가 흘러가고 해당 인원의 버튼을 누르면 타이머의 시간을 참조해서 시간을 기록하는 형태이다. 또한 타이머는..
컴퓨터 활용 능력 검정시험 (1급) 실기 후기
·
etc/이것저것
Introduction 작년 이맘때쯤 문득 내가 너무 시간낭비를 하고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얼떨결에 시간한 공부였지만 고작 하루에 3~4시간이 전부였고 그동안 내가 논 시간동안 벌어진 격차를 줄이기엔 턱없이 부족한 것 같았다. 그래서 당장 눈에 보이는 결과를 얻고싶어 내가 공부하고있는 컴퓨터와 관련된 자격증을 따면 어떨까? 하며 컴활 필기시험을 신청했다. 그때는 내가 너무 불안하다고 생각했던 시기여서 자신감이 필요했고, 정말 열심히 노력해서 단기간에 필기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다. 그 후에는 학교생활과 다른 개발 공부를 하느라 잠시 뒷전이였던 컴활은 이번에 끝내버리자 하며 3주뒤에 시험을 바로 잡아버리고 유동균 인강을 들으며 하루에 6시간 정도 컴활 공부를 했던 것 같다. 내가 공부한 방법은 무식하..
JavaScript 시작
·
Front end/JavaScript
들어가며 처음에는 책에 있는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며 블로그를 업로드 하려 했는데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방법밖에 나오지 않아 파이썬 카테고리에 있는 글과 너무 많이 겹쳤다. 그래서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에 있는 글은 내가 스스로 써보려고 하며 주로 실습을 위주로 코드를 업로드 할 예정이다. 물론 책으로 얻는 이론도 충분히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최근 블로그에 업로드 한 태양계와 친구가 만든 게시판의 프론트를 건드려보며 경험으로 얻는 지식이 정말 중요하다고 느꼈다. 언젠가 내가 구글에 다 오픈소스로 있는데 뭐하러 힘들게 다 직접 하지? 라는 생각을 한 적 있었다. 그런데 직접 하지 않으면 그 코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잊는 경우가 태반이고, 같은 알고리즘이라도 결과의 형태가 바뀌면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 속성 모음
·
Front end/CSS
최근 시험기간이기도 하고 학교 공부에 집중하다보니 블로그에 너무 소홀했던 것 같다. 처음에는 별로 나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줄 알았었던 과목도 이번 단원을 통해 다시 한 번 되짚어볼 수 있었고, 아는 내용이 나와 신기하기도 했었다. css 함수 중 rotate()와 skew()함수는 모두 학교에서 배운 Homogeneous Transformation 과 연관이 있었고, 평소같았으면 그냥 함수의 사용법만 알고 넘어갔을 단원도 그 함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와 같은 비교적 깊은 생각도 할 수 있었다. 트랜스 폼(transform) : 요소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위치를 변경하는 것 사용법 : transform: 변형함수 2차원 변형함수 translate(tx,ty) : 지정한 크기만큼 x축 y축으로 이동 trans..
C#을 이용한 태양계 시뮬레이션 만들기
·
Project
최근 학교 공부에 집중 하느라 블로그에 신경을 많이 쓰지 못했다. 그래도 학교 공부를 하며 수학적 지식도 많이 얻을 수 있었고, 전보다 많이 성장하고 있음을 체감했다. 이번에 만든 태양계 시뮬레이션은 원래는 학교 발표 과제로 만들었지만, 하면서 배운점도 많고 책만 보며 이론을 익히는게 아닌 스스로 경험하며 지식을 얻은것 같아 뿌듯했다. 하드웨어 부분은 Bingle 로봇을 이용해서 태양계를 구성했는데 실행영상이 없으므로 이런 기능이 있다고만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미리보기 소스코드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Data; using System.Drawing; using Sy..
CSS 고급선택자 (속성 선택자)
·
Front end/CSS
속성 선택자의 기본 개념은 해당 속성이 있는 요소를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 태그 여러개를 만들어 여러 속성을 부여했는데 그중에 text-decoration이 none인 속성을 가진 것들을 선택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속성선택자 사용법은 대괄호 안에 원하는 속성을 입력해서 사용한다. a[href] { color : #fff; } 다음 코드는 a태그중에 링크가 있는 요소만 선택하는 코드이다. a 태그더라도 href가 없다면 선택되지 않는다. 특정 속성 선택자 특정 속성 선택자는 속성의 속성값까지 일치해야 선택하는 선택자이다. 사용법은 [ 속성 = 속성값 ] 이다. a [target = _blank]{ background: url(...) } 위 코드는 a태그의 target 속성이 _blank..
CSS 고급 선택자 (연결 선택자)
·
Front end/CSS
선택자란 내가 어떤 요소에 css 효과를 넣을지 결정하는 방법이다. 사실 이번 단원은 딱히 특별하거나 신기한 효과를 배우지 않아 대충 공부하고 다음 단원으로 넘어갔다가 T스토리 클론 코딩을 하며 이 단원의 중요성을 알게되었다. 많은 요소중에 내가 원하는 요소만을 선택한다는게 처음에는 쉽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생각처럼 내 맘처럼 되지않아 고생해본 후에 공부하니 한결 이해가 빨랐다. 개념 css는 부모와 자식 요소가 존재한다. 특정 요소를 기준으로 그 안에 포함된 요소를 하위 요소라고 하며 한 단계 아래인 요소를 자식 그 아래를 손자로 표현한다. 또한 같은 위치에 있는 요소를 형제 요소라고 하고 형제요소중 먼저 나온 요소를 형, 나중에 나온 요소를 동생으로 표현한다. 다음은 이해를 돕기 위한 코드이다. ..
(numpy) 배열의 분할
·
Python/numpy
배열의 분할도 배열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나누고자 하는 축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축을 지정해주지 않으면 기본값인 axis=0으로 들어가며 나누고자 하는 값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예를들어 2행 3열짜리 배열을 행이 3개가 되도록 자른다면 오류가 나는 것 처럼 나누는 수와 축은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지는 관계여야 한다. np.split (arr,x,axis) 배열을 분할하는 함수이며 'arr배열을 x개로 axis를 축으로 나눈다'라는 뜻이다. 예시) import numpy as np x = np.array([[1,2,3],[4,5,6]]) print(np.split(x, 3, axis = 1)) >>> [array([[1], [4]]), array([[2], [5]]), array([[..